금보타 은이 더 높은 투자매력을 가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국제 금 가격이 다시 온스당 1000 달러에 바짝 다가선 상황에 나온 것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실제 하반기 경기회복이 점쳐지면서 금ㆍ은은 물론 원유를 포함한 원자재 가격이 더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8일 대우증권에 따르면 국제 은 현물가격은 이달 5일 기준으로 온스당 15.60 달러를 기록했다. 연초 11.39 달러에 비해 37%나 뛰어오른 것이다.
작년 3월 최고치인 온스당 20.81달러를 기록했던 국제 은 현물가격은 금융위기 여파로 같은해 11월 8.96달러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작년 11월 최저가와 비교하면 현재 은 가격 상승률은 74%에 이른다.
심상범 대우증권 연구원은 "2000년 이후 은 가격이 금값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며 "하지만 작년 하반기 이후부터 금값에 비해 저평가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심 연구원은 "은은 수요 가운데 절반이 산업용"이라며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가 은 가격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경기회복기에 은이 금보다 더 뛸 것이란 이야기다.
심 연구원은 "은 공급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며 "향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높은 상승 탄력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미국 온라인 경제매체 마켓워치도 올해 은값 상승률에 대해 금이나 백금보다 높은 오름폭을 보일 것이라며 비슷한 분석을 내놨다.
마켓워치는 "국제 은값이 20달러를 상회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다만 은 거래가 금보다 적기 때문에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훈 기자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