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지식경제부는 협력업체들이 해외 자동차업체에 납품할 수 있도록 전시상담회를 주선하고 국내에서도 다른 납품대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쌍용차에 대해서는 법원의 최종 결정을 지켜본 뒤 구체적 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내달 15일 관계인 집회에서 채권단이 70여일 간 파업의 여파로 청산가치가 생존가치보다 높다고 판단하면 지난 2월6일 이래 법정관리는 끝난다.
'최악 시나리오'에서는 생산라인과 판매망이 붕괴하고 소비자 신뢰도의 추락을 겪은 쌍용차가 자체 회생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