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공식 방문 이틀째를 맞은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5일 북한의 명목상 국가원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만나 양국 관계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원 총리는 회동에서 "북한과 중국은 경제발전과 인민의 생활을 개선해야 하는 중요한 의무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양국간 우호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원 총리는 "우리는 수교 60주년과 양국 교류의 해란 기회를 이용해 60년간의 양국 관계를 회고하면서 우의를 전승하고 공동 발전을 촉진하는 한편 지역 및 세계의 평화를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와 북한의 최고인민회의간의 교류를 강화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김영남 위원장은 "수교 이래 60년간 정세의 변화에 상관없이 북중 관계는 발전해 왔다"고 강조하고 "양국은 각자가 발전을 촉진하면서 지역과 평화안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고 말했다.
신화통신은 그러나 두 지도자간의 회의에서 북핵 문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보도하지 않았다.
원 총리는 이날 저녁 아리랑 공연을 관람한 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만찬을 겸한 회담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원 총리는 이날 오전 중국 대표단 전원과 주북 중국대사관 직원, 청년예술단 등 총 300여명을 이끌고 평남 회창군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묘를 방문해 헌화했다.
평양에서 동쪽으로 100㎞ 가량 떨어진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묘는 한국전쟁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 사령부가 위치한 곳으로 마오쩌둥(毛澤東) 장남인 마오안잉(毛岸英) 등 134명의 지원군 유해가 묻혀 있다.
원 총리는 마오안잉의 흉상 앞에서 "안잉 동지, 내가 조국의 인민을 대표해 당신을 보러 왔다"면서 "조국은 강해졌고 인민은 행복해졌으니 이젠 편히 쉬라"고 말했다.
원 총리는 열사묘 앞에서 "또 반세기가 흘렀지만 조국은 당신들을 결코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열사묘는 9만㎡ 규모로 한국전에 참전한 중국 인민지원군 240만명을 상징하는 뜻에서 240개의 계단이 조성돼 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