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치경제부 김선환 | ||
올 3월이면 30만명 가량 쏟아져 나오는 대학졸업자 등 취업길이 꽉 막힌 젊은층에는 가뭄에 단비같은 희소식이다.
정부가 일자리창출을 올해 최대 정책목표로 삼은 데 대해 가시적인 성과물을 내고자 하는 모습으로 보여 반가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언뜻 '창업인턴제'라는 말은 생소하게 들린다. 기본적으로 '인턴제'라 함은 통상 기존에 설립된 기업이나 공공기관등에 대략 6개월여간의 사전 직무능력을 평가받아 정규직 등으로 채용되는 제도를 의미한다.
이와관련 노동부 관계자는 "이번에 정부가 내놓기로 한 것은 기존 기업으로의 취업이 아니라, 창업하고자 하는 젊은이들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방안이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여서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말 그대로 창업을 위한 인턴지원이라면 젊은층의 구미를 자극할만한 대책이다.
막상 창업 아이템은 있지만 실제 창업에 나서려면 자본 등 걸리는 게 한두가지가 아니다.
금융기관 대출을 받아 창업에 도전하려해도 불현듯 성공에 확신이 없어서 중도에 포기하는 젊은층이 많은 게 작금의 현실이다.
정부가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안을 세부계획에 담아 낼 수 있다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정부가 그토록 바라는 성장동력 확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문제는 재원이다. 재원마련 대책이 동반되지 않고서는 그저 말뿐인 구상에 그칠 공산이 크다.
당정협의과정에서 청년인턴제 지원대상기업을 현행 5인 미만 사업장에서 '4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취지야 이해못할바는 아니지만 넉넉하지 못한 국가살림에 마냥 대상기업을 확대할수만은 없다.
다만 현재도 많이 설립돼 있는 열악한 대학내 창업기업에 '창업인턴제' 등을 적용한다면 적지 않은 효과를 기대할만하다. 모쪼록 좋은 대안이 나오길 진심으로 바란다.
지난해 실시한 중소기업의 '청년인턴제'는 정규직 전환율이 무려 81.2%에 달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올해도 지난해와 엇비슷한 3만명 규모로 이 사업을 유지한다고 한다. 소요예산 2071억원이 한톨이라도 낭비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한 관리감독을 병행해야 한다.
정부가 올해 일자리 창출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한만큼 차제에 가장 취약계층인 젊은층 일자리 대책에 적극 나서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sh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