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그룹 채권단이 자율협약 대상이었던 금호석유화학에 대해 워크아웃을 결정하고, 오너 일가에는 경영권을 보장하는 쪽으로 타협점을 찾을 전망이다.
8일 채권단에 따르면 금호그룹은 전 계열사 지분을 채권단에 담보로 제공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그룹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 지분을 받는 조건으로 경영권을 보장키로 했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경영권도 얻게 돼 금호그룹 구조조정 작업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이 금호석유화학에 대해 워크아웃을 하게 되면 감자와 출자전환을 통해 최대주주가 돼, 구조조정에 대한 협조를 얻기 쉬워진다.
금호그룹에 경영권 보장이라는 '당근'을 주고, 이를 향후 구조조정 작업에 마찰이 생길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채찍'으로 삼겠다는 의도다.
결국 앞으로 금호그룹 구조조정 작업에 있어 채권단이 '칼자루'를 쥐고 오너 일가는 상대적으로 힘이 약해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 관계자는 "자율협정으로는 최대주주를 컨트롤 할 수 없어 주조조정 과정에서 마찰을 일으킬 수 밖에 없다"며 "금호석유화학에 대한 워크아웃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는 원래대로 워크아웃을 진행하고 금호아시아나항공의 경우도 원안대로 자율협약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