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정부는 14일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Moody's)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2에서 A1으로 상향 조정한 것과 관련, 1997년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허경욱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오후 신용등급 상향조정 직후 정부과천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우리 경제가 위기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해 재정에 큰 압박을 주지 않고 해결했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허 차관은 "무디스 판단에는 2~3년 내에 재정이 정상 상태로, 재정수지가 균형으로 돌아갈 것으로 봤다"며 "재정 건전성을 지켜나가는 게 다른 신용기관의 업그레이드에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상수지 흑자, 단기외채 감소, 2700억달러 이상의 외환보유액 확충 등으로 대외채무 상환 불능 우려가 현저히 개선됐다고 무디스는 평가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해외 차입여건이나 우리나라에 대한 해외 평가가 좋아질 것"이라며 "다른 신평사들에게도 적극 설명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무디스의 판단과 관련, 허 차관은 "한미동맹 및 한반도 안정에 대한 중국의 역할 등으로 남북관계가 등급 상향의 저해요인이 아닌 것으로 평가했다"며 "6자회담이라는 관련 당사국 이해관계가 갑작스런 북한 붕괴를 막는데 역할을 하고 통일 비용도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무디스는 보고 있다"고 소개했다.
무디스는 그동안 스탠다드앤푸어스(S&P), 피치(Fitch) 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 가운데에서도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신용등급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던 기관이었다. 그럼에도 무디스가 다른 신평사들에 앞서 한국의 신용등급을 외환위기 전으로 올려놓아 주목된다.
허 차관은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무디스의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고 전제한 뒤 우리측이 천안함 사태 이후 바로 무디스에 서한을 보내 시장의 반응 등에 대해 설명한 점이 받아들여졌을 것으로 분석했다.
허 차관은 "이벤트 리스크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무디스가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우리 논리를 받아들였고 전국민이 어렵지만 시장은 차분히 반응했고 해외 투자가들도 채권을 계속 산 점도 충분히 감안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핵안보 정상회의 유치가 향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h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