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준혁 기자)
건설사업의 지식정보화 길이 열렸다. 조달청이 공공시설물 공사에 빌딩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올해부터 확대 적용키로 했기 때문이다.
BIM은 구조물의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 등 모든 생애주기에 걸쳐 모든 자재와 시설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첨단 솔루션으로 컴퓨터 상에서 모든 정보가 3차원으로 관리되기에 건설산업의 프로세스 혁신에 기여할 전망이다.
조달청은 공공시설 분야에 BIM 적용을 확산하기 위해, 올해부터 조달청이 기획·시공·사후관리 등 전 과정을 대행하는 '토탈 서비스 건축공사'에 시범 적용하고, 장기적으로 총사업비검토 등 전 분야로 확산할 것이라고 15일 밝혔다.
우선 금년에는 1~2건의 대형 공사에 BIM을 시범적용하고, 내년에는 3~4건으로 확대한 뒤, 2012년부터는 'Total Service' 대상 500억 이상인 턴키·설계공모 공사에 BIM 적용을 의무화한다. 2013년~2015년에는 'Total Service' 적용대상인 500억 이상의 건축공사에 모두 도입함은 물론 4D(Cost) 설계관리 시스템도 구축한다.
단계적 적용 확대 절차를 거친 이후 2016년에는 모든 공공시설물 공사에 BIM 적용을 확대한다. 공사관리는 물론 공사 계약·총사업비 검토 등에서 BIM을 적극 활용해, 시설사업혁신 및 재정집행관리 강화를 추구하겠다는 계획이다.
조달청은 공공시설물 공사에 BIM이 도입될 경우, 설계과정에서부터 각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잘못된 설계를 수정할 수 있고, 설계변경 요인이 줄어 공기단축·비용절감을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달청이 예상하는 BIM 투입 비용은 본설계를 기준으로 공사비의 1% 상당이다. 하지만 이창욱 조달청 시설사업국 과장은 BIM 도입으로 절감 가능한 비용은 공사비의 3~5% 정도로 BIM 투입 비용에 비해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된라고 밝혔다.
한편 현재 미국·핀란드·싱가폴 등 선진국은 공공발주에 BIM 적용을 권장하며 관련지침을 제정·운영해 공공 시설공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미 연방조달청(GSA)는 작년 한 해 전체 프로젝트의 30% 정도에 BIM을 적용하였다.
천룡 조달청 시설사업국장은 "조달청은 건축·기계 등의 전문가로 BIM 발주 전담팀을 구성해 실무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연구용역을 통해 BIM 발주지침을 조기 마련하는 등 BIM이 국내에 정착될 여건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leejh@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