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유수면 및 간척지 매립 위치. |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국토면적이 간척지 매립 등으로 여의도 면적의 24배 만큼 늘었다.
23일 국토해양부가 발간한 '2010년 지적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우리 국토면적은 총 10만210㎢였다. 지난 2008년 말 대비 69㎢ 증가했다. 여의도 면적(2.9㎢, 윤중로 둑 안쪽 신시가지 면적 기준)의 24배가 늘었다.
이는 충남 당진군 공유수면 매립(29.2㎢), 전남 영산호 간척지 매립(18.5㎢), 인천 송도·영종·강화·옹진 공유수면 매립(16.7㎢) 등이 새로이 지적공부에 등록됐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국토는 공유수면 매립 등으로 해마다 커지고 있다. 지난 2000년 9만9773㎢에 비해 437㎢나 넓어졌다.
지목별로는 임야가 6만4472㎢로 전 국토에서 가장 많은 64%를 차지했다. 논이 1만1895㎢로 11%, 밭이 7821㎢로 8% 선이이었다. 대지·도로·하천은 각각 3%를 차지했다.
지난 1980년대 이후 논과 밭은 줄고 도로·대지 면적은 늘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 때문이다. 도로 면적은 2807㎢로 1980년에 비해 2배 증가했고, 대지 면적은 2705㎢로 1.6배 늘었다. 반면 논·밭은 1980년 대비 10.8%, 임야는 2.5% 줄었다.
소유자별로는 개인 소유가 5만3767㎢로 전체의 54%를 차지했다. 국유지는 2만3891㎢로 24%였다. 정구역별로는 경상북도가 1만9천29㎢(전 국토의 19%)로 가장 넓었고, 광주광역시가 501㎢(0.5%)로 가장 작았다.
한편 이번에 발간된 지적통계연보는 국토부 홈페이지(www.mltm.go.kr)와 통계청 e-나라지표에서 열람할 수 있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