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지방자치단체 기업유치 담당공무원은 일자리 창출효과가 높은 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지식경제부는 지난달 21일부터 23일까지 열린 '제3회 기업 지방이전·투자 아카데미'에 참석한 지방자치단체의 기업유치 담당공무원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8.2%가 일자리 창출을 많이하는 기업을 중점유치 대상으로 꼽았다고 밝혔다.
그 뒤로 대규모 투자기업 33.1%, 광역선도 및 시도 전략산업 26.5%, 기타 2.2% 순이다.
특히 기업의 지방이전투자로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질문에는 지역고용창출확대라는 응답이 63.3%로 나타나 지자체가 지역 일자리 창출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또 기업 지방이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지자체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업용지 확보와 기반시설 확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용지 확보 36.9%, 기반시설확충 33.3%, 정주여건 개선 21.3%, 사업지원서비스 확충 7.1% 등이 뒤를 이었다.
수도권기업의 지방 이전투자 활성화를 위한 중앙정부의 지원제도 중에서는 응답자의 50.4%가 보조금 지원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답했다. 지난 2004년부터 시행중인 수도권기업지방이전보조금을 지자체가 기업을 유치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2004년부터 2009년 간 247개 기업에 2209억원의 기업지방이전보조금을 지원해 5조7000억원의 투자유치 및 1만8000여개의 고용창출에 기여했다. 올해 예산은 826억원이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를 반영해 기업지방이전보조금을 포함, 지역투자촉진보조금 예산의 증액을 추진하고 일자리창출 기업 등을 중점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