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어머니의 별세 앞에서 금호아시아나의 박삼구(셋째), 박찬구(넷째) 형제가 극적인 화해를 할 수 있을지 재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2일 금호아시아나그룹 창업주인 고 박인천 회장의 부인인 이순정 여사의 별세가 별세했다.
금호가의 정신적인 지주이자 평소 가족간의 화목을 중시했던 이 여사가 아들들이 화해하는 모습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것이다. 이에 따라 박삼구·찬구 형제의 화해는 남겨진 이들의 숙제가 됐다.
금호그룹은 계열사의 워크아웃으로 어려움에 처했다. 현재 금호석유화학과 금호산업이 채권단과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경영정상화를 위한 수순을 밟고 있지만 해결해야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또 채권단으로부터 그룹 지주회사격인 금호산업에 대한 경영권을 보장받지 못한 상황이어서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통운의 앞날도 불투명하다.
무엇보다 계열사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실제적인 키워드는 박삼구·찬구 회장의 갈등해소에 있다는 진단이고 이고 보면 불투명성은 더해진다.
현재 금호석유화학의 경영은 박찬구 회장이 조카인 박철완 상무와 함께 맡고 있고, 박삼구 명예회장은 금호타이어를 경영하는 모양새이다. 그룹의 어려움 앞에 힘을 합치지 못하고 분열해 있는 양상이다.
이 같은 그룹의 분열은 지난해 7월 대우건설 매각 등 그룹 경영을 둘러싸고 박삼구·찬구 회장이 반목한 것에서 출발했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제각기 제 길을 걷고 있는 현재로서는 형제간 갈등의 골이 쉽사리 메워지기는 어려워 보인다.
실제로 이날 서울 신촌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에 상주로 함께한 박삼구·찬구 회장은 서로 등을 돌린 채 갈등의 골이 여전하다는 것을 드러냈다. 조문객을 맞이하는 두 형제사이에는 대화도 없었다.
하지만 형제들이 화해하지 않으면 그룹의 재건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모친의 별세가 두 형제를 화해의 장으로 이끌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무엇보다 사촌지간인 금호가의 3세들은 장례식장에서 서로 인사를 건내는 모습을 보이며 화해의 불씨를 살려뒀다.
lazyhan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