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용선 기자) 녹색성장이 국가적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산화탄소 발생 및 환경오염 최소화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합성첨가물 대신 식품원료를 사용한 녹색인증식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7일 본지가 주최한 '소비자 안전정책' 국회포럼 제1세션 주제발표로 나선 중앙대 박기환 교수는 '녹색식품 인증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최근 연구에서 합성첨가물이 잔류농약이나 환경오염물질, 미생물에 의한 오염보다 더 위험한 것으로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합성첨가물을 대체 할 식품원료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에 정부는 5개년 계획으로 녹색식품 인증제도를 추진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몇가지 요소들을 살펴보고 대안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녹색제조(Green Manufacturing), 위장환경주의(Greenwashing), 대체 식품원료의 타당성 등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박 교수는 녹색식품의 안정적인 적착을 위해 △화학적 합성첨가물의 범위 △식품 가공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합성첨가물의 인정 여부 △녹색식품 인증 대상 첨가물 지정 △합성첨가물과 천연첨가물(대체식품원료) 구분 △비타민 C는 천연인가 합성인가 △녹색식품 인증 절차 및 평가 등을 해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cys4677@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