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경희 기자) 중국이 금리인상이나 위안화 절상 등 긴축정책 보다는 물가상승 진압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화신망(和迅罔)은 중국 인민은행이 물가가 오르고 있는 가운데서도 금리인상 조치를 늦추고 있다고 5일 보도했다.
중국이 최근 홍수와 폭염 등 기후재난으로 식품가격과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수의 금융 연구기관들이 7월의 물가상승 예상치를 속속 발표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수석경제학자 왕칭(王慶)은 7월 소비자물가(CPI) 상승률 예상치를 3.2%에서 3.3%로 상향조정했다.
또 선인완궈(申銀萬國) 증권연구소 리휘융(李慧勇) 거시경제분석사는 7월의 CPI 예상치가 3.3%에 이를 것이라면서 제한선 3%를 재차 넘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올해 소비자물가(CPI) 상승 추세는 5월 3.1%를 기록한 이래 6월의 CPI는 0.2%p 낮아지며 제한선 3%에 못 미쳤으나 7월 다시 최고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3분기에도 물가상승세가 지속될 것인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사회과학 금융연구소 중국경제평가센터 류위휘(劉煜煇) 주임은 "중국의 실제적인 상황을 결합해 볼때 인민은행은 여전히 보다 신중한 입장을 취할 것"이라면서 "경제 안정을 위해 물가진압형 통화정책 수단을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인민은행 연구부 부업무위원회 자오진푸(焦瑾璞) 부주석은 "현재 경기부양책을 어디서 퇴출시키든지간에 손해를 보게될 것"이라면서 "전세계 거시경제 상황에 비추어 볼때 중요 이유 중 하나는 미국과 유럽의 경제 회복세가 시간이 걸릴 것이기 때문이며 다른 하나는 중국을 포함한 신흥개발도상국의 경제상황에 있어서도 어떻게 유동성을 긴축할 것인가가 과제로 놓여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쟈오진푸 부주석은 "현재 비록 대다수 국가들이 경기 부양책의 퇴출을 위한 통화정책에 공통적인 입장을 보이고는 있지만 다음단계에서의 통화정책 움직임은 각기 다를 것"이라면서 "이에 각 경제국들도 합의를 이루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렇게 되면 개방형 경제의 기초 위에서 중국은 통화정책에 있어 중국만을 위할 것이 아니라 국제영향을 감안 외국 통화정책의 중국에 대한 영향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쟈오 부주석은 또 "현재 상황은 국제적으로 진정으로 긴축 통화정책을 시행하는 국가들이 얼마되지 않으며 각 국가들은 경솔하게 경기 부양책을 퇴출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중앙재경대학 중국은행업연구센터 주임 궈톈융(郭田勇) 교수는 "중국 당국은 향후에도 수량형 통화정책 수단을 위주로 물가상승 진압을 위한 수단을 동원해 신중을 기해 정책을 시행할 것"이라면서도 "합리적인 수준을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zhangjx@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