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연구원은 다만 "대졸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남성 대비 여성의 임금 수준이 1990년 38.5%와 53.2%에서 지난해 53.9%와 67.3%로 높아지는 등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에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과거보다는 높지만 아직 OECD 평균인 61.5%에 한참 못 미치며, 남녀 고용률 격차도 2000년 23.7%에서 지난해 22.4%로 10년간 1.3%포인트 좁혀지는 데 그치는 등 문제점은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여성의 연령별 고용률이 대부분 '∩'자 형태를 띠는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29세 이전까지 높아지다가 30~40대에 최저점으로 하락하는 'M'자 형태를 보여 출산과 육아에 따른 경력 단절이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또 연령별 임시ㆍ일용직 비중이 남성은 60대부터 급증하는 반면 여성은 출산과 육아 이후 노동시장에 복귀하는 30대부터 지속적으로 커지는 모습도 문제로 꼽았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