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관계자는 18일 이와 관련해 “2015년까지 서해 5개 섬의 요새화를 완료하고 핵심 전투장비는 2012년까지 이 지역에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관계자는 “서북도서 방어를 담당하는 서북해역사령부는 논의과정을 거쳐 올해 하반기에 창설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군당국은 지난해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서북도서 방어개념을 수정, 북한의 대규모 공격을 방어하는 한편 유사시 반격도 가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서북도서 요새화 계획은 주민과 병력의 생존성 향상, 상륙 저지능력 강화, 대공 방어능력 제고, 북한 도발시 타격능력 강화 등이 핵심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군은 대만의 진먼다오(金門島)와 같이 대피소와 대피소를 연결하는 공사는 예산상의 이유로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서해 5도에 배치될 핵심 장비의 진지 등을 모두 요새화해 유사시 생존성을 보장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내년까지 서해 5도에 배치,보강되는 핵심장비는 K-9 자주포와 227㎜ 다연장로켓포, 신형 대포병레이더인 ‘아서’, 지대공 미사일인 ‘천마’, 북한 해안포 정밀타격용 유도미사일 ‘스파이크’ 등이다. 130㎜ 다련장, K-55 자주포, K-77 사격지휘체계, 음향표적장비, 전술비행선 등도 내년까지 배치될 핵심장비에 포함됐다.
또한 북한군의 상륙 저지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낡은 해안포도 현재 개발 중인 신형 해안포로 모두 교체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군당국은 서북도서 요새화와 별개로 서북도서 방어를 총괄하는 서북해역사령부를 올해 하반기에 창설할 예정이다.
이 사령부는 육.해.공군.해병대가 연합 작전을 펼치는 합동군 형태로, 사단급 이상의 규모가 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