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기획재정부가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면접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공기관 선진화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2009년 11월 70.5%에서 지난 1월 92.0%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의 필요성도 2009년 11월 80.3%에서 지난 1월 83.5%로 소폭 증가했다.
아울러 보수체계 개편(70.7%), 성과관리시스템 강화(68.1%), 노사관계 선진화(66.2%), 기관 통폐합 및 기능조정(58.0%), 인력조정(55.3%) 부분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추진 성과는 2009년 효과가 없다고 생각한 응답자가 36.8%를 기록, 효과가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 21.1%과 큰 차이가 났다.
반면 지난 1월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25.5%를 차지해 효과가 없다고 대답한 26.9%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009년, 2011년 역점 추진과제(복수응답) <출처 : 기획재정부> |
한편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과 공공기관 역할제고, 노사관계 선진화는 아직 미진하다고 대답한 사람이 많았다.
특히 앞으로 보다 역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공공기관 투자확대 등을 통한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33.0%), 노사관계 선진화(32.3%), 성과관리 강화(30.6%), 외부 감시기능 강화(27.8%), 과도한 복리후생 조정(21.5%) 순으로 나타났다.
재정부 관계자는 “이번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기관 선진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설문은 재정부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과 함께 지난 1월 11~13일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한 결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