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측은 무엇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로 '안전'문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했다지만 전기료 인상 등 가동중단이 미칠 파급효과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따르면 이미 지난 동절기 전력예비율이 사상최저 수준까지 급락한 바 있는 국내 전력수급상황이 고리원전 1호기의 전면 안전점검실시로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최악의 경우 전력수요 피크기인 여름철까지 가동중단사태가 계속될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내 전력 예비율은 강추위가 몰아쳤던 지난 1월 사상 최저인 5.7%(407만kW)까지 떨어졌다. 정부는 전기난방수요 억제 등 단계별 에너지 절감책을 실시하는 등 홍역을 겪은 바 있다. 국내 최초 원전인 고리 1호기가 생산한 연간 전력량은 전체 전력소비량의 1.09%(설비용량 58만7000kW)에 해당한다.
한수원측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협의를 거쳐 안전점검 소요기간을 결정하되, 늦어도 한달안에는 정상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고리원전 1호기 가동중단에 따른 전력부족 현실화를 최소화 하기 위해 안전점검을 서둘러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정치권과 시민단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2007년으로 설계시효가 지난 고리원전을 영구 폐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전력상황은 피크기가 아니어서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전면안전점검은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한수원측은 가동중단에 따른 경영손실은 이번 결정에서 감안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원전의 안전성이 부각되면 될수록 국민들의 부담해야 할 비용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아도 전기료 동결로 한국전력의 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마당에 고리원전 가동중단은 전기료 인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앞서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은 고리 1호기 가동이 전면 중단될 경우 가구당 연간 2만5000원 정도의 전기료 추가 부담이 발생시킨다고 밝혔다. 고리 원전의 전력 판매액은 하루 5억2000만원씩 연간 1898억원에 이른다. 이번 고리 1호기 가동중단으로 손실되는 전력량은 부산 지역 전력소비량의 3개월치에 해당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