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기업, 정부와 정치권에 강한 배신감 느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17 17: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하늘 기자) "대기업들도 동반성장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습니다. 협력업체 지원금도 크게 늘렸어요. 하지만 정부 인사들은 사견임을 전제로 여론을 떠보는 '애드벌룬' 띄우기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을 부도덕한 집단으로 치부하는 듯한 움직임이 야속합니다." 국내 한 대기업 고위 임원의 푸념이다.

국내 기업들은 최근 대기업 때리기에 나선 정부와 정치권에 강한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앞세웠지만 정치적 이해득실에 따라 시장 원칙을 무시한 이들의 행보가 정도를 넘었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대기업들은 이미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을 최대한 반영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삼성을 비롯한 현대기아차 등 30개 그룹은 올해 협력사지원금을 1조 809억원 배정했다. 지난해 8600억원보다 26% 상당 늘어난 수치다.

특히 삼성전자·현대차·LG전자·포스코·SK텔레콤 등 5대 기업의 지원금은 4909억원으로 전체의 45%에 달한다. 지난해 3338억원보다 47%가 증액했다.

이같은 대기업들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싸늘하다. 지난해 사상 최대의 실적을 거둔 대기업들은 올해도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선전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성적표는 더 이상 자랑거리가 되지 않는다.

대기업들이 중소기업의 고혈을 짜내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17일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은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에서 "대기업은 살찌는데 중소기업은 야위어 있다"고 꼬집었다.

정부의 동반성장정책을 도맡은 정 위원장의 언급은 대기업에 대한 정부의 인식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에 국내 전자기업 A사의 고위 관계자는 "대기업 역시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이 이뤄져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는만큼 협력사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원을 늘리고 있다"며 "다만 이익공유제 등 최근 정부의 동반성장정책은 시장자유주의의 근간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정 위원장이 다음달 구체방안을 발표하겠다고 한만큼 이익공유제의 실체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며 "국내 주요 기업들이 이미 시행하고 있는 원가절감이나 기술개발 성과 배분 개념으로 성과공유제가 구체화된다면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많은 국내 기업들은 이미 성과공유제를 통해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을 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그룹은 지난달 18일 '공정거래 및 동반성장 협약식'에서 성과공유제를 채택하고 협력업체와의 공동 R&D 진행을 위해 1000억원을 도입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포스코와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역시 원가절감·공동개발을 통해 협력업체와의 성과공유를 진행하고 있다. 지경부에 따르면 2010년 현재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국내 대기업은 93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