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커 총리는 16일(현지시각) 밤 유로그룹 회의를 마친 뒤 연 기자회견에서 “일종의 `만기연장(리프로파일링.reprofiling)‘을 명확하게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만기연장을 유일한 해답으로 놓고 논의하는 건 아니다”며 “이 방안, 저 방안 등을 논의하고 나서 그다음에 만기연장이 논의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오늘 회의에서 누구도 대규모 채무조정의 필요성을 얘기하지 않았다”며 “대규모 채무조정(리스트럭처링)은 옵션이 아니다”고 가능성을 일단 배제했다.
융커 총리는 “모든 조건이 충족돼야 만기연장을 논의할 수 있다”며 그리스 측의 전제조건 제시가 충족돼야 한다는 점을 거듭 확인했다.
그는 전제조건과 관련, “먼저 2011년 재정 긴축 목표를 달성토록 하는 그리스 정부의 새로운 조치들이 필요하고, 그다음엔 민영화 프로그램이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국제통화기금(IMF) 등을 만족시킬 규모에 이를 것이라는 확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융커 총리는 17일 브뤼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도 지금 그리스의 정부부채는 감당가능한 수준이 아니라고 지적하고 “이를 중장기적으로 감당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의 큰 부분을 민영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들은 그리스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7.4%로 맞춘 2011년 재정 적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여겨질 정도로 충분한 추가 긴축 조치들을 내놓고, 또 2012~2015년 총 500억 유로를 확보하겠다는 국유자산 민영화 프로그램도 신뢰할 만한 계획으로 제시한다면 만기연장을 비롯한 추가 지원을 논의할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