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묵화같은 그림' 이은주 "신사임당등 대가들 오마주 했어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22 14: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토포하우스서 18일부터 '순간의 역사성' 개인전

 

이은주작가가 서울 관훈동 토포하우스에서 18일 개인전을 열고 작품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박현주기자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독특한 기법이다. 화면은 화선지같기도 하고 먹으로 그린 한국화 같은데 알고보면 아크릴과 사진이 섞인 퓨전이다.

하지만 신사임당의 초충도·정선의 박연폭포등을 캔버스에 담아낸 흑백 작품은 아무리봐도 수묵화같다.

이화여대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프랑스에서 사진을 공부하고 한국화의 매력에 빠진 이은주(45 ·사진)작가 작품이다.

18일 개인전을 여는 서울 토포하우스 전시장에서 만난 작가는 "그동안 시간성을 표현해왔는데 이번에는 전통한국화의 대가들의 작품을 오마주했다"고 말했다.

"지난 몇년간 사진으로 포착한 장면을 흑백이미지로 환원시키는 작업을 해왔는데 어느날 신사임당의 초충도를 봤는데 작품이 너무 예쁘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후 한국화에 관심을 갖게 됐어요. 이번 작품은 가로세로 30cm 화폭에 대가들의 작품 원작을 최대한 훼치지 않고, 더 가하지 않고 그대로 담았어요. 현대에서 바라본 풍경이죠."

작품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한다. 옛그림속에 현재 일상 장면이 들어있다. 초충도 그림에 스타벅스 컵이 구르고, 신라면이 함께한다.

新박연폭포, 80x80cm, 캔버스에 혼합기법, 2011

정선 박연폭포를 재구성한 작품에서는 폭포아래 정자부근에서 물구경을 하는 선비들 대신 관광객들이 주변을 서성이며 폭포를 즐기고 있다.

이인문의 강촌청우도에서는 산밑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집들대신 그 자리에 고층 아파트가 자리잡고 있고, 단원 김홍토의 '마상청앵도'에는 새를 바라보던 선비와 시동의 자리에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들어있다.

대가들이 이 그림을 본다면 '산천은 그대로 인데 인걸은 간곳 없네'를 노래할 듯하다.

전통산수화속의 공간을 과거와 현재로 재구성해낸 작품은 시간의 흐름이 전달된다. 흑백 사실화같기도 한 작품은 자신이 직접 찍은 현대인의 풍경 사진을 합성해 그 위에 형태와 윤곽을 흐리게, 또 촘촘히 세필로 작업했다.

서울과 파리를 오가며 6번의 개인전을 연 작가의 이번 전시 타이틀은 '순간의 역사성'이다. 작품기법의 독특함은 인정받았다. 지난 2007년 프랑스 티비빌레 살롱전에서 테크닉부분 특별상과 관람객 인기상을 수상했다. 전시는 18~31일까지.(02)734-7555.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