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는 22일 일본 도쿄 게이힌칸(迎賓館)에서 열린 제4차 한·일·중 정상회의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과 △원자력 안전과 △재난 관리 협력, 그리고 △재생에너지·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통한 지속성장 협력 등의 3개 부속서를 채택했다.
3국 정상은 이날 회의에서 일본 대지진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나타낸 뒤 3국 간 협력이 지역과 세계평화 안정·번영에 기여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특히 3국 정상은 원자력 안전 문제와 관련해 △비상시 조기통보 체제를 구축하고, △사고시 기류 분석 및 예측 정보를 교환하는 등 정보를 공유키로 했으며, △전문가 간 협의도 강화키로 의견을 모았다.
이와 함께 3국 정상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산·관·학 공동연구의 조기 완료 △3국 투자협정의 조기 체결 △대학 간 상호 학점 인정 및 공동 학위과정 개설 △연내 3국 협력사무국 개설 추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증진하자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 대통령은 공동회견을 통해 “3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워 한 나라의 원전사고나 재난은 세 나라 국민 모두에게 실질적이고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이번 회의에서 상호 정보교환 등 제반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건 중요한 성과”라며 “올해 서울에 설치될 3국 협력사무국은 교류와 협력 증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외에도 3국 정상은 북한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으며, 북핵 6자회담의 재개를 위해선 대화 여건이 조성돼야 하고 남북대화가 우선돼야 한다는데 공감했다.
또 3국 정상은 이번 4차 회의를 통해 한·일·중 정상회의가 최고위 정례 협의체로 정착됐다고 평가하고, 내년 5차 정상회의를 중국에서 열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