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줄어든 PF부실채권 매각 규모…구조조정에 어떤 영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6-26 15:5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금융당국이 이달 안으로 매입키로 한 저축은행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채권 규모가 1조9000억원에 그쳤다.
 
이는 본래 PF부실채권을 최대한 흡수해 저축은행의 건정성 개선을 꾀하려던 금융당국의 목표치를 한참 밑도는 수준이어서 하반기 구조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당초 금융당국은 89개 저축은행의 468개 PF 사업장 전수조사 결과 부실 및 부실 우려 채권(3조3600억원)의 대부분을 매입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자산관리공사(캠코)의 구조조정기금이 3조5000억원 마련된 상태여서 충분히 사들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하반기 구조조정을 앞두고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높여 대량 예금 인출사태(뱅크런)에 대한 불안감을 사전 해소하려는 목적이 컸다.
 
하지만 정작 저축은행들로부터 매각 신청을 받은 결과 매입 규모는 45개 저축은행이 보유한 약 1조9000억원에 그쳤다. 금융당국 목표치의 절반 가량에 미치는 수준이다.
 
이처럼 예상외의 결과가 나온 것은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간 PF 사업장의 회생 가능성을 두고 이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원칙적으로 부실 및 부실우려 사업장 PF 채권은 전액 캠코에 매각토록하고 보통 사업장의 PF 채권도 저축은행의 의사에 따라 캠코에 넘기도록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저축은행들은 금융당국의 PF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PF사업장의 회생 가능성에 조금이라도 더 무게를 실어 PF채권을 팔지 않길 원한 것.
 
저축은행 관계자는 "충분히 회생 가능성이 있는 PF사업장의 채권을 무조건 팔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충당금도 충분히 쌓았기 때문에 하반기 구조조정과 상관없이 가지고 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 역시 "저축은행 입장에선 PF 사업장은 일단 보유를 하며 부동산 경기가 활성화되길 바라는 측면이 크다"면서 "어느 정도 수익구조가 확보된 저축은행들은 영업을 하며 '보통' 정도의 PF 사업장은 얼마든지 유지가능하다"고 말했다.
 
PF사업장의 정상화 가능성을 두고 금융당국과 업계 간 의견 차이를 노출한 가운데 당국의 하반기 경영평가 수위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금융당국 입장에선 저축은행의 PF 부실채권 매입 계획이 차질을 빚음에 따라 보다 엄격한 잣대를 적용할 것이라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3일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9월경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진단평가를 실시해 그 결과에 따라 부실 저축은행은 강력한 자구노력을 유도하는 한편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미 금융당국의 저축은행의 검사인력이 대거 교체돼 건전성 기준이 한층 까다로워졌다"며 "이번 경영평가도 통상 평가 수준을 넘어 '고강도 조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