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중국공산당을 다시본다> 공산당 언론통제는 사회통합의 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6-30 14: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홍우리 기자) 중국 집권 공산당의 TV와 라디오의 언론통제는 ‘공공연한 비밀’.

중국 공산당은 인터넷 언론에 대해서도 검색어, 댓글까지 일일이 검열하며 구글 등 해외 관련 업체들과의 마찰이 빚어졌고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열풍을 몰고온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완전 차단•봉쇄하고 있다.

국제기자연맹(IFJ)은 올 초 발표한 보고서에서 2010년 말 중국의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劉曉波)가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된 이후 중국 공산당의 언론통제가 더욱 강화되었다고 말했다.

일례로 튀니지의 재스민혁명이 있은 뒤인 지난 2월 19일, 중국 중국판 트위터로 불리는 웨이보(微博) 등 마이크로 블로그 사이트를 중심으로 ‘중국판 재스민혁명’을 촉구하는 글이 올라왔었다.

그러나 ‘인터넷 만리장성’으로 불리는 중국의 강력한 온라인 검열 시스템에 의해 관련 게시물은 순식간에 삭제되었고 심지어 영어단어 재스민(jasmine)과 중국어 표현인 모리화(茉莉花) 등의 검색어도 모두 자취를 감추었다.

전 세계적으로 반향을 일으킨 인권운동가 아이웨이웨이(艾未未)와 후자(胡佳) 등의 활동에 대해서도 반정부적 성격을 띤 홍콩의 밍바오(明報), 영자신문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 등을 통해 일부분만 보도될 뿐 본토 매체나 포털사이트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지난 27일에는 창당 90주년 기념을 앞두고 관내 신문사에 신문 발행전 1면 지면을 보내라는 일명 사전 보도지침 지시를 내리는 등 언론통제의 고삐를 바짝 죄기도 했다.

이에 대해 서양국가들은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고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미국은 해마다 발표하는 인권보고서에서 중국이 방송•출판과 함께 인터넷을 통제해 언론자유와 표현•결사 등 기본권을 억압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구대국 중국에서 언론통제는 필요조건이며 사회통합의 수단이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지난 10일 광둥(廣東)성 신탕(新塘)에서 쓰촨(四川)성 출신의 임신한 농민공이 현지 주민 출신 보안요원에 폭행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을 기폭제로 해 해당 지역 농민공과 현지 토착민간 무력충돌이 발생, 해외 전파를 타며 외부세계에 공개되었다.

반면 중국 내부에서는 ‘소규모 소동’에 그치고 말았다. 이에 대해 중국 당국자들과 중국의 언론 통제를 긍정적인 시각에서 보는 사람들은 자칫 지역 및 계층간 엄청난 분쟁으로 비화될 수 있었던 사건이 적절한 언론통제로 인해 큰 문제없이 무마됐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언론의 자유와 국민의 알권리가 민주 사회 구성원들의 기본권이라는 측면에서 공산당의 홍보수단이자 사회통합의 필요조건이라고 하는 중국 공산당의 언론통제가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