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지난해 6월 21일부터 올해 7월 15일까지 이용자 5만77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u-보금자리론' 이용자의 평균 연령은 39세, 연소득은 3400만원이었으며 평균 대출금액과 만기는 각각 1억800만원, 16.8년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54.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40대(27.3%) ▲20대(7.9%) ▲50대(7.8%) ▲60대 이상(2.1%) 순이었다.
연소득금액별로는 ▲2000만원 이하(26.9%) ▲4000~5000만원 이하(21.7%) ▲3000~4000만원 이하(18.7%) ▲5000만원 초과(16.7%) ▲2000~3000만원 이하(16%) 등의 분포를 보였다.
이들이 받은 대출금액은 5000만원 초과 1억원 이하가 전체의 37.4%로 가장 많았으며 ▲1억원 초과 1억5000만원 이하(22.3%) ▲5000만원 이하(20.5%) 등의 순으로 1억 5000만원 이하가 전체의 80.2%를 차지했다.
대출 만기별로는 15년 만기가 37.8%로 가장 많았고 ▲10년(29.1%) ▲20년(16.8%) ▲30년(16.3%) 등이 뒤를 이어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만기 15년 이상 비중이 7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환방식에 있어서는 만기까지 매월 원금과 이자의 합계액을 균등하게 상환하는 원리금균등방식이 56.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원금균등 분할상환이 33.4%, 체증식 분할상환이 10%로 조사됐다.
자금 용도별로는 주택을 구입 후 3개월 이내에 대출을 받은 구입용도가 57.9%로 가장 많았으며 기존 주택담보대출 대환이 42.1%로 그 뒤를 이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전체의 97.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다세대주택(1.3%) ▲연립주택(1%) ▲단독주택(0.4%) 등의 순이었다. 집의 크기는 국민주택규모(85m2) 이하의 중소형 주택이 88%를 차지했다.
공사 관계자는 "지난달 정부의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이 발표된 이후 ‘u-보금자리론’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다"며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u-보금자리론’의 금리가 최저 연 4.8%(저소득·무주택 세대는 최저 연 3.8%)인 점을 감안하면 이 상품은 서민층의 내 집 마련과 가계부채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