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대변인은 6일 논평에서 "야권 통합과 서울시장 후보단일화를 향한 큰 진전이라고 평가한다"며 "두 분의 단일화는 반(反) 한나라당 단일대오를 형성해 야권통합을 이루는데 중요한 물꼬를 튼 청신호"라고 평가했다.
박선숙 전략홍보본부장도 “야권이 한나라당에 서울시장은 내줄 수 없다는 뜻을 모으는 과정이라고 본다”며 “집권세력이 더이상 확장돼선 안된다는 안 원장의 뜻은 야권이 모두 힘을 모으라는 국민의 요구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주당이 단일화를 반기는 것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무소속 출마를 강행할 경우 예상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막았다는 안도감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유권자 민심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한 안 원장이 야권과 거리를 둔 채 무소속으로 출마한다면 야권 단일후보를 내놓더라도 승산이 높지 않아 단일후보 추진 논의가 힘을 잃을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민주당 주자군 중 지지율이 가장 높은 한명숙 전 총리는 이날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함께 박 상임이사를 만나 “범시민 야권 단일후보 선출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는 합의를 도출했다.
향후 한 전 총리와 박 상임이사 간 단일화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