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순환 정전에 따른 피해 보상 접수가 시작된 20일 전국 한국전력 지점 등에 보상 신청이 속속 들어오고 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이날 오전까지 전국 지점을 통해 들어온 보상 신청은 총 156건, 신고된 피해금액은 3억3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에는 양계장에 전력이 끊겨 닭이 폐사했다는 사례도 있었고, PC방에 전력이 끊겨 고객에게 환불해 준 요금을 보상해 달라는 사례도 있었다.
또 공장에 전력이 끊겨 납품에 차질을 입었다는 사례, 컴퓨터 등 전자제품 고장으로 피해를 봤다는 사례 등이 들어왔다.
한전 관계자는 “사이버 지점을 통해 300여건이 접수됐지만, 대부분 신청 요건을 갖추지 않아 오늘 집계에서는 제외했다”면서 “요건이 미비한 신청에 대해서는 전화 확인 작업을 통해 보상 대상 여부를 가릴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48개 산업단지공단에는 오후 2시 기준 총 7건의 보상 신청이 접수됐다. 업체들이 추산한 피해금액은 45억 원에 달한다.
전국 중소기업진흥공단에는 오후 3시까지 총 3건의 보상 신청이 접수됐다. 피해금액은 총 1836만원.
이 중에는 구체적인 물적·인적 피해 외에도 생산중단에 따른 피해금액 1500만 원이 포함돼 있다고 공단 측은 전했다.
공단 본부 관계자는 “피해금액 산출 등 신청서 준비에 시간이 걸려서인지 첫날 창구는 한산한 분위기였다”며 “전화 문의도 많지 않았다”고 전했다.
앞서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김정훈 한나라당 의원이 중소기업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날 현재 중소기업 피해액은 301억9100만원(4558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구·경북이 2128개로 가장 많았고, 서울(1093개), 인천(320개), 부산·울산(262개), 대전·충남(161개), 경기(154개), 경남(131개), 전북(130개), 충북(77개), 강원(72개), 광주·전남(60곳) 순으로 집계됐다.
피해액은 서울이 80억2000만원으로 제일 많았다. 대구·경북(76억900만원), 부산·울산(50억4700만원), 대전·충남(21억3500만원), 충북(15억1800만원), 경기(13억300만원), 경남(12억4500만원), 전북(10억4900만원), 인천(9억원), 광주·전남(7억3000만원), 강원(6억35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중기청이 유관기업을 통해 자체 파악한 것으로, 소상공인은 집계에서 제외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