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은 서민생활과 밀접한 25개 지방공공요금과 개인서비스요금, 농축산물 가격을 시도별로 조사해 지방물가정보 공개서비스(www.mulga.go.kr) 등에 4일 발표했다.
공공요금 중 20ℓ 쓰레기봉투는 평균 425원이었으며 부산이 813원, 전북 294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상수도(20㎥) 요금은 서울이 7480원, 하수도는 강원이 2595원으로 가장 저렴했으며 상수도와 하수도(20㎥) 요금은 울산이 각각 1만1860원과 5916원으로 가장 비쌌다.
대중교통요금은 지하철·버스가 카드 기준으로 대구, 광주, 대전 등은 1100원이고 서울, 인천 등은 900원이며 택시 기본료는 전남이 2805원, 부산ㆍ대구 등이 2200원이었다.
외식비는 총 8개 품목 중 냉면과 비빔밥, 삼계탕, 칼국수, 삼겹살 등이 서울에서 최고가로 집계됐다.
서울에서 냉면(7545원)이나 칼국수(6409원), 비빔밥(7027원) 한 그릇이 7000원 안팎으로 나타 났으며 삼계탕은 한 그릇에 1만3000원에 이르렀다. 그나마 김치찌개백반이 5364원, 자장면이 4273원 정도다.
전국 평균 가격은 냉면 6458원, 비빔밥 5763원, 칼국수 5466원이고 가장 싼 가격은 냉면이 5850원(전북), 비빔밥 5056원(강원), 칼국수 4417원(대구)이다.
삼계탕은 전국 평균이 1만1172원이고 가장 싼 제주가 1만83원, 서울에서 삼겹살 200g에 1만3755원이었으며 가장 싼 강원은 1만247원이다.
자장면 전국 평균 가격은 4084원이었으며 지역별로 살펴보면 3750원(대구)∼4500원(충북)이었다.
지난 8월 조사에 비하면 평균 가격(3954원)이 130원 상승했고 지역별 가격도 3550원(제주)∼4263원(서울)으로 변화를 보였다.
김치찌개백반은 4417원(대구)∼5900원(전북)으로 평균 5361원이었으며 김밥은 가장 비싼 곳은 대전으로 3200원, 경남이 2491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평균은 2775원으로 나타났다.
세탁료는 5600원(대전)∼7333원(제주)이고 여관비는 대전이 3만9000원, 대구는 2만6667원으로 각각 최고가와 최저가를 기록했다.
이발비는 전북이 1만1100원, 광주가 8800원이고 미용료(커트)는 서울이 1만4909원, 경남 9909원이었다.
성인 목욕료는 4083원(제주)∼5500원(울산)의 폭을 보였다.
쌀 20㎏은 서울이 4만6645원, 경북이 4만1023원, 돼지고기 삼겹살(500g)은 광주가 1만3180원, 전북이 1만274원으로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쇠고기 등심(500g)은 서울이 3만8964원으로 충남(2만8084원)보다 1만원 비싸 큰 차이를 보였다.
닭고기 1㎏ 가격은 울산이 최고 6252원, 충북은 4817원으로 나타났으며 달걀 10개는 제주가 2444원, 인천 1840원이다.
이번 조사는 공공요금의 경우 시군구 담당공무원이 지난달 15일 기준으로 시스템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밖의 요금은 통계청에서 1개 품목 당 148개 업소씩 조사했다.
행안부는 지난 8월 10개 품목 가격을 공개한 바 이씅나 체감 물가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지자체의 물가안정 노력을 독려하기 위해 조사 대상을 확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