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11월 한반도, 외교전 '후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0-31 18: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11월의 한반도가 심상찮다. 한·미·일 3자회담이 11월 내 열릴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6자회담 당사국들이 제네바 북미 2차회담 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우선 북미 2차대화 결과를 평가하는 연쇄적 양자접촉과 세계 정상들이 대거 출동하는 다자회의가 11월에 열려 이를 계기로 각국들이 각기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외교전을 펼칠 태세다.
 
특히 '3라운드' 후속대화를 모색 중인 남북은 일종의 세 확대 차원으로 중·러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려 적잖은 액션을 취하고 있다.

한국은 중러를 상대로 한 우군화 작업과 동시에 한미일 3자공조도 더욱 견고히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오는 18~19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동아시아정상회의(EAS)를 무대로 한미일 3자 협의가 열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중국은 현재 비교적 '중립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6자회담 조기 재재를 주장하며 북한과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은 기본 입장이지만 한미일의 입장도 적절히 고려하는 스탠스다.

최근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상무부총리가 24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난 데 이어 26일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 것은 이 같은 '균형외교' 기조다.

그러나 중국의 중립적 태도는 현재 진행 중인 남·북·미 중심의 양자협의 과정을 일단 관망해보려는 차원이며, 일정시점에 가서는 6자회담 의장국으로서의 목소리를 낼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러시아는 비핵화 사전조치를 주문하는 한·미·일의 입장에 동조하면서도 '조건없는 6자회담'을 주장하는 북한의 입장도 두둔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북한의 '완고한 태도'를 이유로 6자회담을 조기 개최 해 모든 것을 논의하자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려는 듯한 기류도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6자회담이라는 다자협의 틀을 활용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국은 일단 시간을 두고 신중하게 움직이려는 기류다. 북미 2차대화에 대한 내부적 평가와 향후 대응방향에 대한 내부의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의 관련국 조율 행보는 이달 하순에 가서야 가능할 것이라는 게 정통한 소식통들의 관측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