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기획재정부가 한국노사관계학회에 의뢰, 발표한 ‘공공기관 노사관계 선진화정책 성과’ 연구결과에 따르면 노사관계 선진화 평가 주요지표인 인사권 확립, 경영권 확립, 불합리한 노조활동 관행 등의 지표점수가 2008년 이후 크게 올랐다.
승진, 징계 평가 등 9개 세부지표로 평가한 ‘인사권 확립’ 평가점수(100점 만점)는 2007년 84.2점에서 2011년 90.0점으로 올랐고, 취업규칙 제정권, 휴·폐업 결정, 정리해고 등 5개 지표로 평가하는 ‘경영권 확립’ 평가점수는 2007년 73.6점에서 80.6점으로 뛰어 올랐다.
노조간부 인사시 노조의 동의를 얻도록 했던 노조동의 조항을 둔 기관이 2007년 65개에서 2011년 34개로 줄었고, 정리해고나 구조조정시 노사합의 의무조항을 둔 기관도 2007년 66개에서 2011년 44개로 줄어든 것이 이러한 점수개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노조활동비 지원, 전임자 수 등으로 평가한 ‘불합리한 노조활동 관행개선’ 평가점수는 조합원 100명당 전임자수가 1.20명(2007년)에서 0.91명(2011년)으로 크게 줄어들면서 2007년 72.4점에서 2011년 81.6점으로 급등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 온 공공기관 노사관계 선진화 정책의 성과를 가시적으로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공공기관 노사관계 안정을 통해 공공기관 경영 효율성이 제고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2007년과 2011년에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기관 중 노조가 있는 179개 공공기관의 단체협약 내용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