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이탈리아 상원, 경제안정화방안 처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11 22: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이탈리아 상원은 11일 연금 개혁과 국유재산 매각 등을 포함한 경제안정화 방안을 가결시켰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총리가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 약속한 경제안정화 방안은 △경기 부양을 위한 세금 감면 △2014년까지 150억 유로 상당 국유재산 매각 △2026년까지 연금 지급연령 67세로 상향 △노동시장 유연화 등을 추진하는 내용이다.
 
 이는 유로존 3위 경제국 이탈리아 국내총생산의 약 120%에 달하는 1조9000억원 규모의 정부부채를 줄이고 오는 2013년까지 재정 균형을 달성하기 위한 실행 계획안에 해당한다.
 
 상원은 이날 찬성 156표 대 반대 12표의 압도적 지지로 경제안정화 방안을 승인했다.
 
 이탈리아 하원은 이르면 오는 12일 같은 안건을 표결에 부치며, 가결되면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곧바로 사임할 예정이다.
 
 베를루스코니 총리 사임후 비상 거국내각을 구성해 이탈리아의 경제위기를 타개해나갈 새 총리로는 개혁 성향 경제관료 출신으로 EU 경쟁담당 집행위원을 지낸 마리오 몬티(68) 밀라노 보코니대학 총장이 유력하다.
 
 조르지오 나폴리타노 대통령은 몬티 총장을 지난 8일 종신 상원의원에 지명함으로써 총리 임명을 위한 사전 절차를 마쳤다.
 
 몬티 상원의원이 이날 표결을 위해 의사당 안에 들어서자 의원들은 긴 박수로 환영했다고 dpa 통신이 전했다.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몬티 내각 출범이 불가피하다며 수용하는 입장을 밝혔으나 그가 이끄는 집권 자유국민당(PdL) 일부와 동맹세력인 북부연맹에서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막판 변수가 되고 있다.
 
 루카스 파파데모스 총리가 이끄는 그리스 과도 연립정부가 출범한 데 이어 이탈리아도 정치상황의 불확실성을 제거해나가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금융 시장은 진정기미를 보였다.
 
 이날 오전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의 금리는 6.59%를 기록, 이틀째 내림세를 지속했다.
 
 이탈리아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9일 1997년 이후 최고치인 7.46%까지 올라갔다가 10일에는 신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으로 6.89%로 내려가 위험선인 7% 아래로 진정됐다.
 
 또 이날 밀라노 증시의 FTSE Mib 지수가 개장후 1.7% 오른 15,477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런던과 파리, 프랑크푸르트 등 유럽 주요 증시가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곧 출범할 새 정부가 이탈리아 재정위기 타개와 성장 촉진을 위한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해내지 못할 경우 언제든지 위기가 재연될 수 있다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 경우 이탈리아 은행들에 대한 위험노출(익스포저)이 큰 프랑스 은행들로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