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농림수산식품부는 7일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제7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종자수출 강국 실현을 위한 '종자산업 육성방안'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안은 종자산업을 농업의 반도체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민간의 종자육종 연구기반 조성, R&D투자 확대 및 종자기업육성 지원 등 3대 추진전략과 10개 중점과제를 담고 있다.
종자 육종연구 기반 조성을 위해 2015년까지 연구시설·시험포장 등을 갖춘 민간육종연구단지(전북 김제시, 57ha)를 조성, 종자업체(20개소)의 육종 연구인프라를 지원하고, 다양한 돌연 변이품종 선발을 위한 방사선육종연구센터(전북 정읍)를 2013년에 준공할 방침이다.
유전자원 통합정보시스템도 구축한다. 각 분야별로 분산 관리중인 농업·산림·수산 유전자원의 정보를 통합해 정보검색 및 분양 등 포털 서비스를 제공, 민간 육종가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종자기업을 육성을 위해 골든시드(Golden Seed) 및 기후변화 대응 R&D 등 대형 프로젝트에 민간 종자업체를 중심으로 참여토록 하고 농식품 펀드를 활용해 종자업체에 대한 민간투자 촉진 및 규모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농식품 모태펀드의 경우 올해 2300억원에서 내년3300억원으로 늘려 조성한다.
수출시장 개척 지원등에 대해 농식품부는 아시아국가 등을 대상으로 종자시장 조사 및 수출 품종 전시포 설치를 확대 지원키로 했다. 유전자원 유출방지 등을 위해 해외에서 채종하는 종자를 국내로 전환하는 사업도 진행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경제부처장관 회의인 위기관리대책회의 보고를 통하여 종자산업 육성과 관련한 사업 추진에 관계부처의 협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며 "종자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현행 종자산업법 개정 및 식물신품종보호법 분리 법안을 금주 중에 국회에 제출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