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북한전문가 117명을 대상으로 ‘내년도 남북관계에 대한 전문가의견’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1.2%가 △류우익 통일부 장관 취임 후 중단됐던 사회문화교류차원의 방북허용 △개성공단 활성화조치 시행 △국제기구를 통한 인도적 지원계획 발표 등 대북 유연성을 보이는 것에 대해 ‘안보위험 완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답했다. ‘원칙을 뒤엎어 북한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조치’라는 응답은 10.3%에 그쳤다.
전문가들이 이처럼 정부의 대북 유연화 조치에 공감하는 것은 북한의 권력승계과정에서 추가도발의 우려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상의는 해석했다. 실제 남북경색이 장기화될 시 우려되는 문제로 ‘핵실험 등 안보리스크 대두’(62.4%)가 가장 많이 지목됐고, ‘북한체제의 불안정성 증가’(17.9%), ‘남북간 이질감 심화’(11.1%)등이 뒤를 이었다.
내년도 남북관계 전망에 대해서는 ‘현재상황이 지속될 것’(51.3%)이란 의견이 ‘개선될 것’(41.9%)이란 답변보다 많아 정부의 대북 유연성 발휘가 안보위험을 낮출진 몰라도 남북관계 변화의 물꼬를 트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깊어지는 북중 경제협력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47.0%)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의 대중의존도 심화’(55.6%), ‘중국의 북한 자원개발 선점’(33.3%), ‘남남북중의 지역분할구도 고착화’(9.4%) 등을 우려했다.
북중경협이 남북경협이나 통일기반을 잠식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있다’(84.6%)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북한 신의주특구, 나선지역이 궁극적으로 중국 동북3성과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해 발전될 수 있다고 본 전문가도 65%에 달했다.
대한상의는 “중국이 본격적으로 북한지역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진행할 경우 북중접경지역은 크게 발전할 수 있다”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 대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북중간 경제협력 강화에 대한 대처방안으로는 ‘남북한과 중국 3국의 전략적 대화통로 확보’(49.6%)를 가장 많이 꼽았고 ‘북한경제개발에 대한 비전 및 목표공유’(25.6%), ‘북중 접경지역에 중국과 동반진출 모색’(20.5%) 등을 꼽았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안정적 대화채널 확보’(42.7%)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이어 ‘남북경협 재개’(24.8%)와 ‘인도적 지원강화’(21.4%)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북한과의 대화과정에서 중점을 둬야 할 과제로는 ‘사과 및 도발방지 약속’(60.7%), ‘정경분리에 따른 기업활동 지속성 보장’(33.3%), ‘북한 인프라 및 지원개발에 대한 기회 획득’(26.5%), ‘통행·통신·통관 등 3통 및 대북사업 애로해소’(21.4%) 등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