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금융권 내 은행 개혁을 위해 은행연합회 철폐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13일 금소연 관계자에 따르면 내년부터 금소연은 서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캠페인을 전개하기로 했다.
올 한 해 서민들을 옥죄어 온 가계빚에도 은행들은 대출금리 인상과 수수료 이득으로 몸집을 불려왔으나, 금융당국이 이를 수수방관해 왔다는 것이 활동 배경이다.
조남희 사무총장은 “서민들을 울리는 금융사들의 관행에 실질적인 행동이 없는 금융당국에 더이상 맡겨둘 수 없다”며 “시민들도 자각할 필요가 있는만큼 내년부터 소비자들이 참여하는 캠페인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금소연은 소상공인연합회 등과 금융회사의 이른바 ‘꺾기’ 관행에 대한 전면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심각한 관행이 드러나는 은행의 경우 계좌이전 운동을 진행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최근 미국에서 벌어진 반월가 시위로 인해 65만명의 미국 국민이 대형은행의 예금을 빼내 신용협동조합으로 계좌를 이전한 바 있다.
금소연은 이와 비슷한 행동으로 국내 은행들을 개혁하겠다는 것이다.
조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해 △은행연합회 철폐 운동 △공동민원제 시행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행연합회는 각 은행들과 금융당국 사이에서 업무 조율 및 중간 매개자 역할을 하는 한편, 은행들의 업무 개선을 돕는 것이 설립 목적이다.
하지만 부동산 담보대출 시 소비자들에게 부담토록 한 근저당설정비, 높은 은행 대출이자 등 은행들의 행태가 금융산업 발전과 역행하는 모습을 보였음에도 연합회가 올바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 금소연의 지적이다.
박병원 은행연합회 회장은 지난달 말 취임식에서 "단기적인 이익극대화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안목에서 은행산업에 대한 사회 전체의 이해와 지지를 확보하는 일에도 적극 동참해야 한다"고 연합회의 역할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박 회장은 서민금융과 사회공헌 활동 강화 또한 강조했다. 결국 향후 금소연의 철폐 운동이 장애물이 될 지 여부는 연합회의 행보에 달려있는 상황이다.
한편 공동민원제는 금융 피해를 입었을 경우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민원을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내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형식적인 민원 처리를 개선하고, 감독기관에도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조 사무총장은 "소비자들의 목소리가 커질수록 상당한 파장이 일 수밖에 없다"며 "금융기관들이 미리 앞서 개혁하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