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행사인 강성대국 선포를 해야 할 시기에 북한의 ‘국상 기간’이 겹쳐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은데다 후계자인 김정은이 체제 정비를 하면서 김 위원장의 숙원인 강성대국과는 다른 구상을 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상당수 북한 전문가들은 김일성 주석 사망시에도 김 위원장이 유훈통치를 통해 정통성을 확보한 것처럼 김정은도 슬로건 자체는 유지 하겠지만, 그 속에서 변화를 모색할 것이란 인식에 강성대국의 내용ㆍ형식이 바뀔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강성대국 선포’를 김정은이 김 위원장의 유훈인 강성대국을 내세워 주민 결속과 체제 단속을 위해 대외적인 세력 과시보다는 애도의 구심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경제문제가 계속되는 상태에서 강성대국 선포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반영된 것.
이에 일각에서는 내년 2∼3월에 당직 등을 격상시키고 김정은 중심의 강성대국 건설을 선포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강성대국 선포를 늦추고 김정은 이 경제문제 먼저 해결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다.
문제는 북한의 강성대국 계획 차질이 한반도 정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그동안 북한은 내년 강성대국 진입을 위해 필요한 경제 환경 조성을 위해 비핵화 문제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북한의 정책이 바뀌면 비핵화 문제에 대한 기조가 바뀔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