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지난해 우리나라 IT 수출액이 전년 대비 2.0% 증가한 1569억7000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IT수지는 754억500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333억달러 흑자를 2.3배 웃도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 재정위기와 태국 홍수 등 어려운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시스템반도체 등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 융합형 제품의 수출이 두드러졌다.
특히 스마트폰은 118억8000만달러로 전년대비 53.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 같은 스마트폰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2009년 이후 하강곡선을 그리던 우리나라 휴대전화 수출은 3년만에 증가세로 반전됐다.
국산 스마트폰 세계 시장점유율은 2009년 4.2%로 5위에서 2010년 10.0%로 4위로 오른데 이어 작년 1분기에 16.2%를 차지하며 세계 3위로 도약했고 2분기부터 세계 1위에 등극했다.
작년 2분기 및 3분기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23.2%, 27.1%에 달했다.
세계 3D TV시장에서도 한국제품은 작년 3분기 점유율 45.2%를 차지하며 일본(33.3%), 중국(16.8%)을 큰 차이로 앞섰다.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 반도체의 단가급락으로 수출이 501억5000만달러를 기록, 전년대비 1.1% 감소했으나 시장점유율은 사상 처음 60%대를 돌파했다.
특히 융합형 핵심 부품인 시스템반도체는 전년 대비 24.0% 증가한 200억달러의 수출을 기록, 사상 최초로 D램수출을 초과하며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부상했다.
국가별 IT 수출실적을 보면 대 중국(홍콩포함) 수출액이 전년대비 6.5% 늘어난 738억6000만달러를 차지했다.
중국에 대한 수출은 2000년 이후 10년연속 증가세다.
강명수 지경부 정보통신정책과장은 “올해 세계 IT시장은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성장 정체가 예상된다”면서 “그러나 우리나라는 스마트폰, 시스템반도체, 스마트TV 등 융합형 제품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사상 최대 수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