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초 대형무기도입사업 착수‥사업비 10조원 넘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08 17: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정부가 육ㆍ해ㆍ공군 대형 무기도입사업에 관한 입찰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 총 10조원 이상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알려졌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6일 육군 대형공격헬기(AH-X)와 해군 해상작전헬기 사업 입찰 공고를 냈다고 8일 밝혔다. 또 오는 18∼19일에는 공군 차기전투기(F-X) 3차 사업에 대한 입찰공고를 낼 계획이다.

대형공격헬기 1조8000여억원, 해상작전헬기 5500억원, F-X사업 8조3000여억원으로 모두 합쳐 10조원 이상의 사업비가 소요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군 일각에서는 현 정부 임기 마지막 해에 대규모 무기도입을 계약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도 제기됐지만, 방사청은 국회에서 2012 정부 예산안이 그대로 통과되면서 당초 계획대로 올해 안에 사업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방사청은 오는 12일과 17일 대형공격헬기와 해상작전헬기에 관한 사업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입찰등록마감일은 두 사업 모두 5월10일이며, 6월 협상 및 시험평가 등을 거쳐 10월 기종이 선정된다.

36대가 도입되는 대형공격헬기의 기종으로는 미 보잉사의 아파치 롱보우(AH-64D)와 유로콥터의 타이거, 미 해병대가 운용하는 벨사의 슈퍼코브라, 터키와 이탈리아 공동생산기종인 T-129 등 4개 기종이 거론된다.

해상작전헬기는 올해부터 2018년까지 해군에 인도되는 차기호위함(FFX.2300~2500t급)에 1대씩 탑재되어 대잠ㆍ대함작전을 수행하게 된다. 국외에서 우선 8대를 구매하고 나머지 10대는 한국형 기동헬기인 ‘수리온’을 개조해 첨단장비를 탑재 운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후보 기종으로는 이탈리아와 영국이 개발한 AW-159, 네덜란드와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가 개발한 NH-90, 미국의 MH-60R, SH-70B 등이 꼽힌다. 이들 헬기는 최신형 레이더와 음탐장비(소나)를 탑재하고 있다.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290~450㎞에 이른다.

5세대 전투기 60대를 도입하는 F-X 사업에는 미 록히드 마틴사의 F-35와 보잉의 F-15SE,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의 유로파이터 타이푼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기종 결정 시기는 당초 예정됐던 10월에서 11월로 늦춰졌다.

방사청 관계자는 “기종 성능과 비용, 군 운용적합성, 대응판매, 국산부품사용, 기술이전 등에 관한 평가와 협상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해 국익에 유리하게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