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금융당국이 이 사건과 관련,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 등 관련자들을 검찰에 고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총리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카메룬발(發) ‘다이아몬드 파동’에 자원외교와 관련된 공무원들이 이번 사건에 연루된 것이 밝혀지면 큰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은 또 최근 CNK 사건과 관련해 지식경제부 직원들과 김은석 대사 이외에 외교부의 국장급 고위 공무원 등을 불러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경부는 해외 자원 개발 업무를 총괄하며, 광물자원공사는 이를 지원하는 공기업이다.
감사원은 이 사건에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 대사에 대한 징계를 이번주에 결정하고 이를 외교부에 통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8일 열리는 증권선물위원회에 `CNK 주가 조작 혐의에 대한 조사 결과`를 안건으로 상정한다.
여기에는 금감원이 조사한 CNK 주가 조작 핵심 혐의자들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를 근거로 주가 조작 혐의 의혹을 받고 있는 CNK 내부 임직원을 검찰에 고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고발 대상에는 오덕균 CNK 대표와 조중표 CNK 고문(전 국무총리실장ㆍ전 외교부 차관) 등 5~6명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조중표 전 실장은 간접적으로 이들의 불공정 거래에 동조한 혐의를 받고 있다.
CNK 주가는 2010년 12월 외교부에서 `CNK가 카메룬에서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을 획득했으며 그 매장량이 최소 4억2000만캐럿`이라는 보도자료를 내면서 주가가 급등하기 시작했다. 당시 3000원대였던 CNK 주가는 외교부 보도자료 발표를 기점으로 그해 말 8840원까지 급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