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즈미 준(安住淳) 재무상은 작년 11월 1일~4일까지 1조200억엑을 시장에 매각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10월 31일 당일 시장 개입액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인 8조700억엔을 시장에 풀어낸 이튿날 이뤄진 조치다. 당시 엔달러당 환율은 75.35엔까지 하락했다.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은 당국의 개입 여부에 대한 시장의 의심을 고조시켜 엔고를 저지하자는 것이었다.
이시가와 주니치 IG 시장 전략가는 “해외에서 국가가 시장을 조작한다는 비난이 거세지는 가운데 일본은 공개적으로 외환 시장에 엔화를 풀 순 없었을 것”이라며 “일본 국내에서도 엔고에 불만이 컸던 탓에 ‘몰래 개입(stealth)’을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당국이 이른바 ‘몰래 개입’을 단행한 것은 2004년 이후 7년 만이다.
아즈미 준 일본 재무상은 이날 “엔화 가치 상승을 막기위해서 불가피한 조치였다”면서 “미국 등 외부에서 시장 개입이라고 비난할지라도 일본은 필요할 때면 외환 시장에 개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시 일본의 시장 개입 효과는 미미했다. 엔화 값은 작년 10월 31일 달러당 75.32엔으로 전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개입 효과로 한 때 4엔 정도 하락했으나 곧 상승했다. 이달 초에는 일시 75엔대로 복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