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단백체의학연구센터 박병철 박사팀이 세포의 사멸·증식과 관련된 신호전달체계에서 ‘Pin1’이라는 효소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암 단백질로 불리는 세포 내 JNK단백질은 스트레스 등의 외부 자극에 반응해 인산화되면서 세포를 살리거나 죽이라는 신호를 보내는데, 이 때 Pin1이 JNK단백질에 붙어 인산화 작용을 돕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즉 Pin1의 활동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되면 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일어나는 암이나 세포의 죽음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등을 치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지금까지 세포 신호달체계에서 단백질이 인산화되면서 세포를 증식시키는 과정은 알려져 있었지만 인산화를 자극하는 물질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포학 분야 학술지인 ‘세포 사멸과 분화(Cell Death & Differentiation)’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