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원 경제부 기자 |
유명 정치인들은 물론 정부 부처 고위공직자들도 이런 강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일부 즐기는 이용자들도 있지만, 하지 않으면 선거에서 질까봐, 남들보다 뒤처질까봐, 의무감에서 가입만 해 놓은 사람들도 적지 않다.
최근 이명박 대통령까지 나서서 장·차관들에게 SNS를 통한 국민들과의 직접소통을 지시하면서 ‘무늬만’ SNS 이용자들은 더 늘어난 듯 하다.
이들의 SNS이용 목적은 ‘소통’이지만, 그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SNS의 영향력은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활용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물론 사용하지 않는 것 보다는 사용하는 것이 더 소통 가능성을 높여주겠지만, 여전히 SNS 사용자보다는 비사용자가 훨씬 많다는 점도 주지해야 할 사실이다.
인기연예인의 경우 수십만명의 트위터 팔로워(팬, 친구)를 보유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많아야 수천에서 수만명이다.
SNS를 잘 쓴다는 장관 중의 한 사람인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페이스북을 통해 소통하는 사람의 수는 이제 겨우 5000명을 넘어섰다.
SNS가 일부 계층과의 소통에 효과가 있을수 있겠지만, 소값 폭락에 소를 끌고 청와대로 가겠다며 몰려 나온 축산농민들이나 대형 유통업체에 밀려난 골목상인들과 소통하기에는 아직은 유용하지 않은 수단임에 틀림 없다.
5000만명을 바라보며 그들 위한 정책을 고민해야 할 정치권과 공직자들이 일부의 관심에 매몰되는 ‘소통’을 스스로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되돌아 볼 일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