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재는 13일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7차 동남아시아 중앙은행기구(SEACEN) 총재회의 개회사를 통해“글로벌 위기가 미국 등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번지며 아시아 지역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때문에 그는“아시아 신흥국 역시 외화보유액 확충, 통화스와프 체결 등 각국 정책과 국제적 협력을 통한 완충재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아시아 신흥국의 역할도 강조했다.
또한 세계경제 성장동력으로서의 아시아를 강조한 김 총재는 “세계경제 자원이 고용창출 등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배분됐다. 향후 높은 생산성을 지닌 곳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데 아시아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미래 위기를 피하려면 실물, 금융의 강한 연계성을 고려해야 하며 중앙은행 역시 기존의 전통적인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정책의 조화를 염두에 둬야 한다는 점도 역설했다.
한편 제47차 SEACEN 총재회의, 고위급 세미나, 제31차 SEACEN 센터 총회는 1박2일간 진행된다.
이 회의에는 한국, 중국, 대만, 태국 등 17개 회원국 중앙은행 총재와 고위급 인사 등 80여명이 참석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