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경인지방통계청이 조사한 ‘경기도 소비자 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중 경기지역 소비자 물가지수는 105.6%로, 전년 동기 102.2%보다 3.5% 상승했다.
전월 보다는 0.5% 상승했다.
경기지역 중 소비자 물가지수가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안양과 안산(3.8%)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성남(3.7%), 수원·부천(3.5%), 고양(3.3%), 의정부(3.1%) 순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지출목적별 동향을 보면 통신이 3.6% 하락한 반면 식료품·비주류음료 6.0%, 주택·수도·전기 5.6%, 교통 5.2%, 음식·숙박 4.3%, 가정용품·가사서비스 4.1% 각각 상승했다.
가공식품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도 4.5%나 올랐다.
특히 서민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3.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전년 대비 양상추(100.3%)를 비롯해 고춧가루(83.5%), 상추(71.0%), 오이(39.2%), 풋고추(36.8%) 등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했다.
과실류는 4.6% 상승한 반면 채소류와 생선류는 9.4%, 3.4%가 각각 하락했다.
또 개인서비스도 상승했는데, 전년에 비해 3.5% 상승했다. 집세는 5.7%나 급등했다.
올해 1/4분기 경기지역 경기 전망이 지난해에 이어 계속 악화돼 서민가계는 이보다 몇 배 이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이어서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