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들 1~2인 빈곤가구의 대부분은 60대 이상의 고령층에 집중돼 이들을 위한 정책적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가구유형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기준 1인당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빈곤인구 중 1인가구 비율은 23.6%, 2인가구 비율은 31.3%로 집계됐다.
빈곤인구의 절반 이상(54.9%)이 1~2인 가구에 집중돼 있는 것이다.
빈곤인구의 1~2인 가구 집중도는 2006년 46.9%에서 2010년 54.9%로 4년 사이 8%포인트나 급증했다.
1~2인 가구에 속한 빈곤인구가 60대 이상 고령층에 집중돼 있는 점도 확인됐다.
2010년 기준 1인가구에 속한 빈곤인구의 72%가 60이상 고령자였으며, 2인가구에 속한 빈곤인구의 68.2%도 60대 이상의 고령자로 나타났다.
빈곤 1인가구 대부분은 독거노인이고, 빈곤 2인가구 대부분은 노인부부이거나 한부모 가정 등 취약계층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빈곤인구의 저조한 취업률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KDI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2005년) 표본자료를 활용해 추산한 가구규모별 가구주 취업상태를 보면, 1인가구의 가구주 미취업률이 46.02%에 이르며, 2인가구의 가구주도 36.94%가 미취업상태였다.
특히 한부모 가정의 미취업상태는 심각한 상황이다. 2인가구는 한부모 가구 중심의 2세대 2인가구와 고령자 부부 가구 중심의 1세대 2인가구로 나뉠 수 있는데, 이 중 2세대 2인 가구의 가구주 미취업률은 45.81%로 1세대 2인 가구의 미취업률 33.73%보다 12%포인트나 높았다.
이에 따라 KDI는 정부의 사회정책과 복지제도가 3~4인 가구 중심에서 1~2인 가구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택정책, 최저생계비, 소득공제제도, 사회보험 수급자격 등을 1~2인 가구에 맞게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