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식물농장이란 실내에서 생물의 재배환경(빛 온도 습도 등)을 인공적으로 제어해 공산품처럼 계획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일컫는다.
![]() |
16일 포스코건설 인천 송도 사옥에 설치된 '그린허브'에서 포스코거설 R&D센터 직원들이 식물 재배 상태를 살펴보고 있다. 그린허브란 일종의 도시형 식물농장으로 포스코건설의 고유 브랜드다. [사진설명] 포스코건설(사장 정동화)이 인천 송도사옥 내에 도시형 식물농장인 ‘Green Hub’를 설치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은 포스코건설 R&D 센터 직원들이 식물 재배상태를 체크하고 있는 모습. |
이번에 설치한 그린허브는 전체 54㎡ 면적에 45개의 재배 베드(Bed)를 갖췄으며 월 1500포기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다. 특히 백열등의 70% 수준의 전력을 사용하는 LED조명이 설치됐으며, 양액을 뿌리에 직접 분무해 충분한 산소와 양분을 공급하는 재배 방식을 도입했다.
운영은 포스코건설 R&D센터에서 맡고 있으며 현재는 상추나 쌈채소 위주의 작물을 재배하고 있지만, 향후 딸기나 바질(허브류)등 고부가가치 작물을 재배할 계획이다.
이미 포스코건설은 지난 2010년 '송도 더샵 엑스포' 아파트 내에 식물농장 시스템을 구축해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했으며, 분양 경쟁률이 3대 1에 육박할 정도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재배가 자녀 교육에 좋고,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청정조건에서 운영해 친환경 채소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입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포스코건설은 이 시스템을 작년 4월에 분양한 '서울숲 더샵'에 적용했으며 향후 이를 점차 확대시켜 나갈 계획이다.
김현배 포스코건설 R&D 센터장은 "도시형 식물농장을 통해 Zero-Energy(저전력), Zero-Emission(배출제로), Eco-Friendly(친환경)를 실현하고, 도시와 자연이 하나가 되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건설은 그린허브 운영을 통해 임직원 및 더샵 입주민들에게 도시에서 느낄 수 없는 전원생활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회사 고유의 공동주택형 식물농장 시스템을 상품화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