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호산업 채권단은 이날 회의를 열어 유상증자, 채권단 출자전환, 신규 자금지원 등 3가지 방안으로 이뤄진 총 6900억원의 지원안을 결의했다. 신규 자금지원액은 1200억원이다. 채권단은 주당 발행가격 7600원에 2700억원을 출자전환하기로 했다.
3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한다. 기존주주 배정 방식이지만 실권주가 발생하면 제3자 배정방식 등을 통해 증자하게 돼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참여할 예정이다.
채권단이 지원안을 결의한 직후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산업 정상화를 위해 박삼구 회장의 사재를 투입해 유상증자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채권단에 전달했다. 2010년 금호산업의 감자로 보유주식을 대부분 상실한 박 회장은 그동안 유상증자 참여를 모색해왔다.
유상증자에는 지난해 박 회장과 아들인 박세창 금호타이어 부사장이 보유했던 금호석유화학 주식을 팔아 마련한 4000억원 가량의 자금이 쓰인다.
박 회장은 채권단 출자전환 가격에 20% 할증된 가격에 유상증자에 참여하게 된다. 통상 제3자 유상증자 방식은 기준가에서 할인된 방식으로 참여하지만 박 회장은 오히려 기준가보다 높은 가격에 참여하게 됐다. 이 때문에 박 회장이 유상증자 참여로 확보하게 되는 지분은 당초 예상보다 적은 14%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유상증자 지분은 채권단의 출자전환 지분의 매각 제한기간과 동일하게 2014년까지 매각이 제한되고, 채권단의 신규 자금에 대한 담보로 전량 제공될 뿐 아니라 채권단 결의에 의해 감자 진행시 균등 감자될 수 있다는 조건을 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채권단의 출자전환과 유상증자는 부채비율을 낮추고 자본을 늘려 금호산업의 재무구조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현재 금호산업의 부채비율은 2000%를 넘는다.
금호산업은 외부주주 지분을 제외한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자본금이 79.6% 잠식상태라고 밝혀 최근 한국거래소에 주식 매매거래 정지를 당했다. 심각한 자본잠식으로 인해 이대로 버려두면 상장폐지를 당할 우려가 있다. 지난달에는 일시적인 자금난으로 임금 및 협력업체 대금 지급이 지연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