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모바일 광고 전문기업 인모비에 따르면 최근 전국 성인남녀 10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전화통화와 문자를 제외한 하루 평균 모바일 사용시간은 79분으로 98분을 기록한 데스크톱·노트북 사용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TV시청은 75분에 불과해 모바일 기기 사용시간이 훨씬 더 길다.
이어 독서는 24분, 라디오는 하루 평균 24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구매 영향력은 데스크톱·노트북(75%), 모바일 기기(52%), TV(38%), 신문(15%) 순으로 응답했다.
모바일 매체의 구매 영향력이 TV를 추월한 것.
웹서핑 행태 조사에서는 모바일 기기만 사용하는 것은 7%에 불과했다.
모바일과 컴퓨터를 반반씩 사용한다는 응답이 55%로 높게 나타났다.
주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응답은 22%, 컴퓨터만 사용하는 비중은 16%다.
모바일을 통한 웹 서핑을 하는 이유로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5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쉬운 사용성이 40%를 차지했다.
김승연 인모비코리아 대표는 “모바일이 이미 생활 깊숙이 자리잡았으며 제품 구매나 의사결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