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팡단(成方丹) 지난(暨南)대학 학보기자는 중국의 혼인가능 연령이 프랑스(15세), 러시아(14세), 이란(5세) 등 다른 국가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며 특히 대학교육을 받지 않는 농촌거주 청년들에게 불합리한 제도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혼인가능연령 조정이 남녀 성비 불균형으로 인한‘잉여남, 잉여녀(剩男剩女 – 노처녀, 노총각)’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황대표의 의견에 대해서는 이는 개인의 연애, 결혼관의 차이로 생겨난 문제라며 정책적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중국의 출생인구 남녀성비는 117 : 100 으로 2020년이 되면 20~45세 결혼연령 남성이 여성보다 3000만 명 더 많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