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휘발유 가격이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전기 오토바이가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로스앤젤레스의 할리우드 일렉트릭스가 올해 1, 2월에 판매한 전기 오토바이가 2010년과 2012년 2년 동안 팔린 대수보다 더 많다고 17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가 보도했다.
캘리포니아주 스코츠밸리의 제로 모터사이클은 작년 7월까지 5년 동안 고작 1천대의 전기 오토바이를 팔았을 뿐이지만 올해는 2천대 판매를 예상하고 있을 만큼 주문이 많다.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변호사로 일하는 헨리 몰린은 매일 왕복 40㎞에 이르는 출퇴근길에 전기 오토바이를 탄다.
몰린이 주유소에 들리는 경우는 음료수를 살 때뿐이다.
휘발유 가격이 갤런당 5달러에 육박하는 고유가 시대를 맞아 전기 자동차에 이어 전기 오토바이가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다.
전기 오토바이가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휘발유 오토바이에 못지않은 성능을 갖춘 덕이다.
제로 모터사이클의 주력 제품인 ZF9은 시속 140㎞까지 달릴 수 있고 한번 충전하면 180㎞를 주행한다.
브라모가 오는 5월 시장에 내놓을 예정인 신제품은 시속 160㎞의 속도를 내며 충전 한번에 160㎞를 달린다.
제로 모터사이클 대표 할란 플래그는 "휘발유 값 상승과 비례해서 전기 오토바이의 성능이 향상되고 있다"면서 "(전기 자동차인) 닛산 리프와 쉐볼레 볼트의 인기와 더불어 소비자들이 전기 오토바이에 관심과 구매 의사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현재 미국에서 팔리는 오토바이는 30만대가 넘지만 전기 오토바이는 극소수다.
전기 오토바이의 높은 가격이 연료 절약 효과를 상쇄해버리기 때문이다.
전기 오토바이는 1.6㎞를 주행하는 데 드는 연료비가 고작 2센트에 불과하지만 1만달러에서 1만4천달러에 이르는 비싼 가격 탓에 4만8천㎞를 달려야 휘발유 오토바이와 가격이 같아지는 효과를 낸다.
다만 아직은 일부 중·소형 업체가 주로 만드는 전기 오토바이를 대형 업체도 제작하면 가격이 내려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미 일본에서 전기 스쿠터를 선보인 닛산은 오는 11월 '레이시'라는 전기 오토바이를 출시할 예정이다.
오토바이 제조업체의 강자 BMW도 3년 이내에 전기 오토바이를 시장에 내놓겠다고 공언했고 오스트리아의 유명 오토바이 제조업체 KTM 역시 전기 오토바이 개발에 나섰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