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는 지난달 15일 특수통 검사 출신 유재만 변호사 입당 환영식에서 “나라의 기강을 세우는 데 특별한 능력을 발휘하신 분을 영입해 함께 일할 수 있게 된 것은 민주통합당이 큰 힘을 얻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밝혔다.
당시만 해도 ‘검찰 개혁’에 힘을 쏟고 있는 한 대표가 유 변호사를 비례대표 후보에 포함할 것이라는 관측이 주류를 이뤘지만 20일 발표된 비례대표 후보 명단에선 유 변호사를 찾을 수 없었다.
유 변호사 영입에 공을 들인 박영선 최고위원은 비례대표 공천심사위원회와의 조율 과정에서 “유 변호사를 명단에 올리지 않으면 최고위원과 의원직까지 버리겠다”고 말하며 강경하게 맞섰으나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검찰 개혁을 위해 영입한 이재화 변호사는 비례대표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당선과는 거리가 있는 30번이었다.
박 최고위원은 “(공천을 좌우하는) 민주당의 보이지 않는 손들이 자제할 때가 됐다”며 최고위원직을 내던졌다.
재벌 개혁을 위해 영입한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수는 전주 덕진에 지역구 공천을 신청했지만 지도부의 요청으로 수도권 지역으로 유턴했다가 낙천했다.
노동계 영입 케이스인 이석행 전 민주노총 위원장은 비례대표 명단에서 이름을 찾을 수도 없었다. 그는 당초 비례대표 상위 순번에 배치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26번을 제안 받자 이를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지도부가 지역구 공천 소외에 반발한 한국노총 달래기에 집중해 민주노총 출신인 이 전 위원장을 등 돌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에 민주통합당은 고생 끝에 영입한 각 분야별 전문가들을 공천 과정에서 계파간 지분 챙기기의 희생양으로 전락시켰다는 비난에 직면하게 됐다. 또 버려진 이들이 ‘선당후사’ 할지 탈당하고 저격수로 돌아설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