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에는 스마트 모바일 앱 개발자 등 1인 창조기업 지원과 창업 초기기업의 기술개발 및 자금지원을 추진한다.
2013년부터 초기기업만을 위한 전용 R&D 사업을 추진, 앱개발 지원센터 확대 구축 및 유망 스타트업 발굴·육성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이외에도 CEO 간담회 등을 통해 모바일 콘텐츠, 모바일 광고 등 IT 중소벤처기업에 KIF(Korea IT Fund)의 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성공한 벤처 1세대 중심의 엔젤투자 확대를 유도하는 등 초기기업에 자금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성장기에는 창업 초기를 벗어난 중소벤처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해 방송통신 핵심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마케팅 및 해외진출 활성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시장창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5억 이내의 소규모 과제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사업화 할 수 있는 자유공모형 R&D를 추진한다.
사물통신, 클라우드, 방송장비 등 기술지원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애로기술 파악, 기술컨설팅, 인력지원 등을 통한 관련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의 무선통신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신규 구축하고 기술사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정체기 및 재도약기에는 중소기업의 효과적인 출구전략인 전략적 M&A의 활성화를 지원하고 기업회생을 위한 재기지원을 통해 재도약의 발판을 제공할 예정이다.
소규모 기간통신사업자의 M&A 인가․신고제도 간소화, 세제혜택 등과 같이 M&A 촉진을 위한 제도를 발굴․개선하고, 실패한 기업인의 재기를 촉진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협력, 재창업의 장애요인을 발굴·해소하고 실패기업인의 실패사례를 성공의 디딤돌로 활용하기 위해 실패기업 중심의 자문단 구성, 멘토링 시스템 운영 및 실패사례의 DB화를 통해 실패한 기업의 노하우를 사회적 자산으로 축척할 계획이다.
기업의 성장단계 전반에 걸쳐 공생발전 환경을 확산하기 위해 상생협력 지원, 불공정 거래 관행 개선과 함께 중소기업 종합 지원체계를 마련해 개방·협력적 생태계를 구축하고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유도하기로 했다.
인터넷상생협의체, 외주제작상생협의회 등의 상생협의체를 통해 외산대비 국산장비 유지보수율의 차별 시정이나 통신사의 수요예보제와 같은 상생 관련 의제를 논의하고, 콘텐츠 수익배분 기준을 개선, 콘텐츠 제값받기를 통해 공정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중소기업 사업제휴 설명회 및 투자연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방송통신 중소기업에게 자금조달·기술개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시 종합지원 허브를 구축하고, 영세 기업을 대상으로 DDoS 사이버대피소 제공, 정보보호 컨설팅 및 기술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서비스․콘텐츠․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이같은 전략에 따라 2015년까지 방송통신 중소기업의 수가 일만개까지 늘고, 이중 1%인 100개 기업은 매출액 1000억원 이상의 1000억 클럽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