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가 2011년부터 시작한 '농지연금' 사업에 1000번째로 가입한 농민부부(가운데)가 공사 임직원들로부터 축하를 받고 있다. |
(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한국농어촌공사가 위기에 빠진 농가를 구원하기 위해 손발을 걷어붙였다.
농어촌공사는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 ‘농지매입비축사업’ ‘농지연금’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부채, 재해 및 인력난으로 경영위기에 처한 농가를 지원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은 부채에 시달리는 농가의 농지를 공사가 매입, 빚을 상환해주고 매입한 농지를 해당농가에 다시 장기 임대해주는 지원책이다. 농어촌공사는 올해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에 총 2600억원을 투입, 경영위기에 처한 농가를 지원할 예정이다.
지난 2006년부터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경매위기에 처한 3878농가의 농지 5196ha(9070억원)을 매입, 파산위기에 처한 농가들을 구한 바 았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위 사업으로 연간 545억원(농가당 약 3100만원) 이상의 이자비용 절감이 가능해져 농가경영안정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향후 경영 장부 작성과 농업경영능력향상 교육 등을 통해 지원 농가들의 경영능력을 제고하고, 제도개선 등으로 농가들의 부담을 더욱 줄여 회생기회를 확대하는데 노력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공사가 추진하는 ‘농지매입비축사업’은 고령이나 질병 등으로 은퇴 또는 전업을 희망하는 농업인의 농지를 공사가 매입해 전업농이나 새로 농사를 짓고자 하는 농가에 장기 임대해주는 사업으로 2010년부터 시행해오고 있다.
특히 농어촌공사는 ‘농지매입비축사업’을 통해 총 2500ha의 토지를 20~30대의 젊은 농업인에 중점 지원하는 등 농촌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지난해 농어촌공사에서 처음 도입해 실시하고 있는 ‘농지연금’은 농지를 담보로 매월 일정 금액을 연금으로 지급해주는 제도다.
이는 농지 외에는 재산이 없고 소득원이 부족해 노후 대책이 막막했던 고령 농업인들을 위해 도입됐다. 시행 첫해 1000명이상의 농업인이 ‘농지연금’에 가입하는 등 큰 성과를 올렸다.
이에 농어촌공사는 올해 전년 대비 2.6배 증가된 약 19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사업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농어촌공사 측은 “향후에도 농업인들이 보다 많은 혜택을 누리고, 농가가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